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나도 다 해봤어’, ‘다 해봐서 잘 알아’는 영어로 ‘Been there, done that’ ‘나도 다 해봤어’, ‘다 해봐서 잘 알아’의 영어 표현은 ‘Been there, done that’이다. ‘Been there, done that’은 직역하면 ‘갈 데 가 봤고, 할 거 해 봤다’는 의미이지만, 의역하면 ‘나도 그런 거 겪어봐서 다 잘 알고 있다’라는 뜻이 된다. 따라서 나도 이미 다 알고 있다고 말하고 싶을 때, 나도 다 해봤다고 말하고 싶을 때 ‘Been there, done that’을 사용할 수 있다. 예문 Been there, done that. 나도 다 해봤어. 다 해봐서 잘 알아. When you're on a blind date, you have to listen to your partner carefully. Been there, done that. 소개팅할 때는 상대방.. 더보기
‘별로 중요한 거 아니야’, ‘잊어 버려’는 영어로 ‘Forget it’ ‘별로 중요한 거 아니야’, ‘잊어버려’의 영어 표현은 ‘Forget it’이다. 상대방에게 마음에 담아두거나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해 주고 싶을 때 ‘Forget it(별로 중요한 거 아니야, 잊어버려, 됐어)’을 사용한다. 또한 ‘Thank you’의 대답으로 ‘Forget it’을 사용할 수 있는 데, 이때는 고맙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대단한 일 아니니 잊어버려도 된다는 의미로 생각하면 된다. ‘내가 쏠게’, ‘내가 낼게’는 영어로 ‘This is on me’ ‘내가 쏠게’, 내가 낼게’의 영어 표현은 ‘This is on me’이다. 내가 밥값을 내거나, 모인 자리에게 계산을 하고 싶을 때, 상대방에게 한 턱 내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 ‘This is on me’ parkjabong.. 더보기
‘내가 쏠게’, ‘내가 낼게’는 영어로 ‘This is on me’ ‘내가 쏠게’, 내가 낼게’의 영어 표현은 ‘This is on me’이다. 내가 밥값을 내거나, 모인 자리에게 계산을 하고 싶을 때, 상대방에게 한 턱 내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 ‘This is on me’이다. 동양이나 서양이나 자신이 계산을 하겠다고 말하는 순간이 다가오기 마련인가 보다. ‘내가 쏠게’란 표현이 동서양에 다 있는 걸 보니 말이다. 멋지게 계산서를 집어 들며 폼 나게 계산하겠다고 말하고 싶을 때 사용해 보기 바란다. “This is on me(내가 쏠게, 내가 낼게)” ‘꿈 깨’, ‘어림 없어’는 영어로 ‘Dream on’ ‘꿈 깨’, ‘어림없어’의 영어 표현은 ‘Dream on’이다. 말도 안 되는 희망이 이루어질 거라고 믿는 상대방에게, 그 희망은 이루어질 수 없다고 직.. 더보기
‘꿈 깨’, ‘어림 없어’는 영어로 ‘Dream on’ ‘꿈 깨’, ‘어림없어’의 영어 표현은 ‘Dream on’이다. 말도 안 되는 희망이 이루어질 거라고 믿는 상대방에게, 그 희망은 이루어질 수 없다고 직설적으로 말하고 싶을 때 ‘Dream on(꿈 깨, 어림없어)’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노래도 못하고 춤도 못 추는 데 아이돌 가수가 되겠다는 원대한 꿈을 갖고 있는 친구에게 ‘Dream on(꿈 깨, 어림없어)’라고라고 표현할 수 있다. ‘두말하면 잔소리’, ‘맞는 말이야’는 영어로 ‘You can say that again’ ‘두말하면 잔소리’, ‘맞는 말이야’의 영어 표현은 ‘You can say that again’이다. 직역하면 ‘그 말을 한 번 더 할 수 있다’지만, 의역하면 상대방에게 맞는 소리라고 맞장구 쳐줄 때 사용할 수 parkjabo.. 더보기
‘두말하면 잔소리’, ‘맞는 말이야’는 영어로 ‘You can say that again’ ‘두말하면 잔소리’, ‘맞는 말이야’의 영어 표현은 ‘You can say that again’이다. 직역하면 ‘그 말을 한 번 더 할 수 있다’지만, 의역하면 상대방에게 맞는 소리라고 맞장구 쳐줄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다. 두 번 말할 필요도 없이 정말 맞는 말이라는 것을 표현하고 싶을 때 ‘You can say that again(두말하면 잔소리)라고 말할 수 있다. 유사한 표현 상대방의 말에 동의하는 표현으로 ‘You bet(당연하지)’, ‘Tell me about it(내 말이)’, ‘I agree with you(동의합니다)’도 있다. 상대방의 말이 틀림없이 맞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을 때 ‘You bet(당연하지)’, ‘Tell me about it(내 말이)’, ‘I agree with y.. 더보기
‘먼저 하세요’는 영어로 ‘After you’ ‘먼저 하세요’의 영어 표현은 ‘After you’이다. 양보할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서 상대방이 먼저 한 후 내가 하겠다는 의사를 밝힐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 ‘After you(먼저 하세요)’이다. 특히 외국의 경우 아이와 여자를 배려하는 문화가 오래전부터 자리 잡혀 있었기 때문에 여자가 들어갈 때 문을 잡아주는 문화를 당연시하게 여긴다. 여자를 배려하는 경우에는 ‘Ladies first’라고도 한다. 외국 생활을 하면서 어떤 건물에 들어갈 때 외국인 남성이 처음 문을 잡아주었을 때 어색해서 어쩔 줄 몰라했던 기억이 난다. 태어나고 자라면서 누군가가 내가 들어갈 때까지 문을 잡아 주었던 적이 있었던가? 그 남자는 몸에 밴 매너였겠지만, 나의 경우에는 부끄럽기도 하고 어쩔 줄 몰라하며 어색해했던 기억.. 더보기
‘잠깐만’, ‘기다려’는 영어로 ‘Hang on’ ‘잠깐만’, ‘기다려’를 영어로 ‘Hang on’이라고 표현한다. 상대방에게 잠시만 기다려 달라고 말할 때 ‘hang on’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오랫동안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잠깐만 기다려 달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일상적인 회화에서 격식을 차리지 않고 ‘기다려’라고 짧게 말하고 싶을 경우 ‘Hang on’을 사용한다. ‘wait’는 기다리는 시간이 짧을지 길 지 알 수 없다. 길 때도 사용할 수 있고 짧을 때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Hang on’과 ‘Hold on’은 짧은 시간 동안 기다릴 때 사용할 수 있다. ‘오해하지 마’는 영어로 ‘Don’t get me wrong’ ‘오해하지 마’의 영어 표현은 ‘Don’t get me wrong’이다. 상대방이 나의 말과 행동을 오해한 것 같아 오해하지.. 더보기
‘오해하지 마’는 영어로 ‘Don’t get me wrong’ ‘오해하지 마’의 영어 표현은 ‘Don’t get me wrong’이다. 상대방이 나의 말과 행동을 오해한 것 같아 오해하지 말아 달라고 말하고 싶을 때 ‘Don’t get me wrong(오해하지 마)’라고 표현한다. ‘get’에 ‘이해하다’라는 의미가 있어서 ‘get 누구 wrong’은 ‘누구를 잘못 이해하다’라는 뜻이 된다. 예를 들어, ‘I get him wrong’은 ‘내가 그를 오해했다’가 된다. 따라서, ‘Don’t get me wrong’이라고 말하면 ‘나를 오해하지 말아 주세요’란 의미가 된다. Don't get me wrong. 오해하지 마. 오해하지 마세요. ‘Don’t misunderstand me’도 ‘오해하지 마’라는 같은 의미를 가지지만, 이 표현은 좀 더 딱딱한 표현이다. 따.. 더보기